top of page
작성자 사진연구소

동원된 근대화 : 박정희 개발동원체제의 정치사회적 이중성


박정희 개발동원체제의 정치사회적 이중성 - 동원된 근대화

조희연 (지은이) | 후마니타스 | 2010-01-07

반양장본 | 448쪽 | 223*152mm (A5신) | ISBN(13) : 9788964371053

사회과학적 입장에서 박정희 체제의 성격과 그 정치사회적 동학을 중심으로 다루는 책이다. 박정희 시대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이라고 할 수 있는 이 책은 박정희 시대의 체제적 성격과, 박정희 시대의 대중적 동의 기반에 대한 두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이 책의 1부는 바로 그 ‘경제’체제의 ‘정치사회적’ 작동 방식을 다루고 있으며, 2부는 또 다른 정치사회적 성격, 즉 체제의 대중적 동의 기반, 이른바 ‘헤게모니’적 성격을 다루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이 책은 박정희 시대의 정치사회학이라고 할 수 있다.


1부 박정희 시대 개발동원체제의 구조적 성격과 동학

1장_개발동원체제의 일반적 성격과 그 동학

1. 개발동원체제의 일반적 성격

2. 개발동원체제의 일반적.특수적 성격

3. 개발동원체제의 모순과 위기

4. 한국 개발동원체제의 구조적 성격 평가와 관련된 쟁점들 : 그 ‘성공 요인’과 부패 성격


2장_개발동원체제의 변화 과정 : 형성, 균열, 위기 및 재편

1. 개발동원체제의 변화 단계

2. 한국 개발동원체제의 계급적.사회적 조건 : ‘반공규율사회’의 형성

3. 개발동원체제의 성립과 그 동학 : 국가의 ‘헤게모니적 자율성’

4. 개발동원체제의 균열 : 국가의 ‘억압적 자율성’

5. 개발동원체제의 위기와 재편

6. 맺음말


3장_개발동원체제의 국가론적 성격

1. 머리말

2. 동아시아 자본주의 발전과 ‘수출형 축적 체제’ : 이른바 ‘근대화’의 경제적 구조

3. 동아시아의 국가 : ‘신중상주의적 준전시 국가’와 권위주의적 개발동원체제

4. 국가와 축적 체제의 1960~70년대적 결합의 위기

5. 1960~70년대적 국가-축적 체제 결합의 해체와 변형

6. 맺음말


2부 박정희 시대의 강압과 동의 : 그람시, 헤게모니, ‘헤게모니의 균열’

4장_박정희 시대의 강압과 동의 : 지배.전통.강압.동의의 상호 관계

1. 머리말

2. 지배.전통.동의.동원 : 그람시 헤게모니론의 재구성

3. 박정희 시대의 반공주의적.개발주의적.반공주의적 동원과 강압.동의

4. 맺음말 : 박정희 지배의 ‘전통화’?


5장_근대 독재 권력으로서 박정희 체제의 ‘모순적 복합성’ : 헤게모니의 복합성과 모순성

1. 들어가면서

2. 근대 독재 권력의 복합성과 모순성

3. 박정희 독재의 유산을 둘러싼 현재적 쟁투

4. 맺음말


6장_헤게모니의 구성적 과정과 ‘헤게모니 균열’ : 국민, 민중, 시민의 동학

1. ‘헤게모니 균열’의 문제 설정 : 그람시의 계승과 확장

2. 개발독재 시대의 헤게모니 구축과 그 작동

3. 1970년대 개발동원체제의 헤게모니의 균열

4. ‘수동혁명적 민주화’ 시대의 헤게모니와 그 변화

5. ‘신자유주의적 지구화와 결합되어 진행되는 민주화’ 도정에서의 헤게모니의 변화

6. 맺음말


결론_박정희 시대 재평가 논의와 근현대 역사상 재구성의 과제 : ‘복합적 진보’ 분석틀을 향하여

1. 들어가면서

2. 1987년 이후 민주 진보 담론의 정체와 관성화

3. 이영훈 및 임지현의 박정희 시대 재평가에 대한 성찰적 이해

4. 포스트 민주화 시대의 민주 진보 담론과 성찰적 발전 방향


5. 맺음말


저자 : 조희연

최근작 : <5·18민중항쟁에 대한 새로운 성찰적 시선>,<한국 민주화와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동학>,<아시아 민주화와 사회경제적 불평등의 동학> … 총 35종 (모두보기)

소개 :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 남가주대학교(USC)에서 한국학 객원교수와 영국 랑카스터대학교,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UBC)에서 교환교수를 지냈고, 비판사회학회장을 역임했다. 현재는 학술단체협의회 공동대표이며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겸 NGO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다. 또한 성공회대학교 통합대학원장과 민주주의연구소장을 맡고 있으며, Inter-Asia Cultrual Studies : Movement(Routledge 발행)의 편집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2003년 <문화일보> 여론조사에서 “대표적인 진보적 지식인”으로 선정되기도 했고, 같은 해 <시사저널>이 시민운동가를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지식인”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계급과 빈곤>(1992), <현대 한국 사회운동과 조직>(1993), <한국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1998), <한국의 국가?민주주의?정치변동>(1998), <비정상성에 대한 저항에서 정상성에 대한 저항으로>(2004), <박정희와 개발독재시대>(2007)가 있고, 그 외 다수의 편저와 논문이 있다.

조회수 10회댓글 0개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