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연구소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총서 10, 11권 발간


성공회대 민주주의연구소입니다.

저희 연구소의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총서' 10권과 11권이 발간되었기에 알려드립니다.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총서 10]

거대한 운동에서 차이의 운동들로 : 한국 민주화와 분화하는 사회운동들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총서 11]

아시아 정치변동과 사회운동의 변화 : 아시아 민주화와 분화하는 사회운동들


(From big to many in differences :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movements in Korean democratization)

조희연, 김동춘, 김정훈 엮음 ; 김동춘, 김원, 김은희, 김정훈, 오유석, 유철규, 윤상우, 이광일, 조현연, 조희연 지음


차례


책을 내면서 | ‘독재 이후’ 및 ‘개발 이후’ 한국 민주화 과정에서의 사회운동의 변화와 재구성|조희연·김동춘·김정훈 9


1. 민주화 과정에서의 사회운동의 복합적 분화 9


2. 이 책의 주요 내용 18

서장 | ‘거대한 운동’으로의 수렴에서 ‘차이의 운동들’로의 분화

한국 민주화 과정에서의 사회운동의 변화에 대한 연구|조희연 23

1. 들어가면서 23

2. 분석틀 및 이론적 프레임 26

3. 수동혁명적 민주화의 도전과 사회운동의 변화: 구모순의 수동혁명적 해결을 둘러싼 사회운동의 변화 58

4. 포스트-개발자본주의화의 도전에 따른 사회운동의 변화와 재구성: 신모순의 등장에 따른 사회운동의 변화 85

5. 민주화 과정에서 사회운동들 간의 관계: 복합적 분화 속의 상호관계 104

6. 요약과 맺음말 120


제1부 부문운동의 대응과 분화


제1장 | 경제개혁 시민운동의 이념적 재평가

경제민주화운동의 연대와 과제를 중심으로|유철규 139

1. 서론 139

2. 경제개혁과 경제민주화의 이해 141

3. 외환위기 이후 경제개혁과 경영자-주주-노동자 관계의 이념적 대립의 복잡성 153

4. 경제개혁운동(경제민주화운동)의 평가 161

5. 경제민주화운동의 연대를 위한 과제 165


제2장 | 민주화 과정에서의 노동운동과 시민운동의 연대 분석|윤상우 173

1. 문제제기 173

2. 사회운동의 연대에 관한 이론적 배경 176

3. 민주화 이후 노동운동과 시민운동의 연대 활동 183

4. 노동운동과 시민운동의 연대성 평가 198

5. 맺음말 209


제3장 | 민주화 과정에서의 사회운동의 분화와 변화에 대한 연구

풀뿌리사회운동과 사이버사회운동을 중심으로|김정훈 215

1. 새로운 사회운동으로서의 풀뿌리운동 215

2. 풀뿌리운동이란 무엇인가? 218

3. 지역 중심의 풀뿌리운동 223

4. 사이버풀뿌리운동 229

5. 새로운 주체, 새로운 운동 238


제4장 | 여성운동의 변화와 분화

여성정치세력화를 중심으로|오유석·김은희 243

1. 1987년 민주화, 여성운동의 분화와 성격 243

2. 한국 여성정치세력화 수준, 어디까지 왔나? 249

3. 여성운동의 제도화 효과와 여성정치세력화 256

4. 여성운동의 주체적 활성화: 여성정치세력화운동의 분화 264

5. 여성정치세력화운동의 위기와 도전: 독자세력화(3차 분화)의 가능성 278

6. 여성정치세력화와 남녀동수운동 281


제5장 | 민주화 이후 지역의 보수적 지배와 대안운동의 가능성

군포시를 중심으로|이광일 287

1. 들어가는 글 287

2. 민주화 이행 이전 군포의 특징과 운동의 양상 290

3. 민주화 이행 이후 지배 구조의 변화: 지방자치제, 주민자치위원회를 중심으로 294

4. 민주화 이행 이후 지역운동의 양상과 성격 305

5. 거버넌스 현주소: ‘군포의제21’을 중심으로 320

6. 대안운동의 가능성에 대한 모색 326


제2부 제도화의 딜레마와 대항 사회운동


제6장 | 문화, 젠더 그리고 세대적 차이에 관한 연구

사회운동 활동가들에 대한 구술자료를 중심으로|김원 333

1. 서론 333

2. 민주화 이후 한국 사회운동 활동가의 현재 337

3. 사례의 재구성 342

4. 결론: 불투명한 미래 381


제7장 | 과거청산운동의 제도화 과정과 변화|김동춘 387

1. 서론 387

2. 한국의 과거사위원회의 입법화·제도화 현황 391

3. 과거사 관련 위원회들의 성과와 한계 400

4. 특별법 입법 과정의 딜레마 404

5. ‘제도’로서 위원회 운영의 딜레마 411

6. 제도화의 딜레마를 넘어서기 위한 방안 423

7. 결론 427


제8장 | 시민사회의 ‘갈등적 분화’와 ‘뉴라이트’|조현연 432

1. 민주화 이후 시민사회의 팽창과 균열: ‘시민사회 대 시민사회’ 432

2. ‘새로운 현상’으로서 뉴라이트의 등장과 현황 434

3. 뉴라이트의 등장 배경과 전략과 특성 439

4. 뉴라이트의 효과와 확산가능성 457

5. 뉴라이트와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460



===================


[민주주의와 사회운동 총서 11]

아시아 정치변동과 사회운동의 변화 : 아시아 민주화와 분화하는 사회운동들

(Changes in social movements in the Asian political change :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movements in Asian democratization)

조희연, 허성우, 이기호 엮음 ; 박승우, 박윤철, 박은홍, 이기호, 이홍균, 조희연, 허성우 지음

차례


책을 내면서: ‘독재 이후’ 및 ‘개발 이후’ 아시아 민주화 과정에서 사회운동의 변화와 재구성|조희연·허성우·이기호 9


1. 민주화 과정에서 사회운동의 복합적 분화 9

2. 이 책의 주요 내용 18

서장 아시아 민주화 과정에서의 사회운동 변화의 성격과 제도정치영역과의 관계_조희연 27

1. 민주화 과정에서의 사회운동의 도전과 과제 27

2. 독재 이후 수동혁명적 민주화 과정에서의 사회운동에 대한 도전과 응전 31

3. 포스트-개발자본주의화에 따른 사회운동의 1차 분화와 2차 분화 42

4. 사회운동의 ‘복합적 분화’와 신사회운동의 관계 52

5. 민주주의적 정치의 성격과 사회운동: 제도정치와 사회운동의 상호관계 58

제1장 대만 민주화 이후 사회운동의 변화와 재조직화_박윤철 77


1. 들어가는 말 77

2. 대만 국가/시민사회 관계와 사회운동의 재구조화 모형 79

3. 사회운동의 역사적 성격과 권위주의 시기의 사회운동 83

4. 민주화 시기 사회운동의 변화 88

5. 개발자본주의의 충격과 운동지향적 사회운동의 재조직화 96

6. 나오는 말 104


제2장 민주화 이후 필리핀 사회운동의 변화_박승우 109

1. 서론: 연구의 주제 및 목적 109

2. 이론적 논의 111

3. 민주화 이후 필리핀 사회운동의 분화 116

4. 민주화 이후 정치적 기회구조의 변화 134

5. 요약 및 결론 149


제3장 타이의 사회운동과 헌정주의_박은홍 157

1. 서론: 연구의 주제 및 목적 157

2. 분석틀 모색: 사회운동과 정당정치의 관계 160

3. ‘74년 체제’의 위기: 헌정주의 대 준헌정주의 166

4. ‘97년 체제’의 위기: 헌정주의 대 반헌정주의 173

5. 결론 181


제4장 인도네시아 말루쿠 분쟁지역 갈등의 특징과 바쿠바에 운동:

아래로부터의 시민 참여에 의한 갈등 중재 및 평화 프로세스_이기호 189

1. 머리말 189

2. 인도네시아 사회운동의 배경 191

3. 말루쿠 지역의 분쟁 배경과 종교 간 갈등 201

4. 시민 참여에 의한 갈등 중재와 평화 프로세스: 바쿠바에 운동 208

5. 맺음말: 사회운동의 특징과 과제 217


제5장 민주화 이후 필리핀 여성운동의 변화·분화와 신자유주의 대항 헤게모니_허성우 225

1. 서론 225

2. 연구대상과 방법 및 이론적 개념들 228

3. 민주화와 필리핀 여성운동의 발전·분화·확산과 대항 헤게모니 237

4. 페미니스트 대항 헤게모니 구축 전망 256

5. 결론: 한국 사회운동/여성운동에서 갖는 이론적·실천적 함의 264


제6장 동유럽, 시민사회 발전의 지체와 민주주의 공고화의 지체_이홍균 273

1. 머리말 273

2. 동유럽의 민주화와 민주주의 공고화 276

3. 동유럽에서 민주주의 공고화의 실패 283

4. 기존의 민주화 이행론과 민주주의 공고화론에 대한 재검토 293

5. 맺음말 296

조회수 0회댓글 0개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