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연구소

송현정(공저). 2020. “영국 학교 시민교육의 제도화와 현황에 대한 분석.“

송현정. 2020. “영국 학교 시민교육의 제도화와 현황에 대한 분석.“ 『시민교육연구』 제52권 제3호, 119-154. (공저)


이 연구는 영국 학교 시민교육의 제도화 과정과 현황을 분석하여 그 특징을 파악하고 우리나라 학교 시민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국에서는 1980년대까지 민주적인 정치 과정과 문화에 대한 신뢰 속에 학교에서 시민교육을 제도화하지 않았다. 그런데 1990년대부터 청년층의 낮은 투표율 등으로 민주주의 위기가 감지되고 세계화와 다문화 사회의 진전으로 인해 자국 내의 인종 및 문화의 다양성이 증가하면서 학교 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영국에서는 크릭 보고서 등을 통해서 학교 시민교육의 방향과 핵심 요소를 정하고, ‘시민교육’ 교과목을 구심점으로 교과 및 교과 외 활동 등을 통해서 학교 시민교육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영국의 학교 시민교육은 기존의 사회적 전통에 따라 학교뿐만 아니라 학교 밖 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영국의 학교 시민교육은 정치적 논쟁의 극복, 시민교육을 위한 국가정책 수립, 학교와 학교 밖 자원의 연계, 현장 체험 및 실천 중심 교육의 특징을 띠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우리나라 학교 시민교육에 정치ㆍ사회적 합의, 체계적인 학교 시민교육 정책 수립, 학교와 학교 밖의 협력, 체험과 실천 중심 교육 강화 등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따라서 최근 들어 민주화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국가 및 정부 주도 하에 학교 및 교과 위주의 시민교육을 추진하고 있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영국 시민교육의 접근 방식은 유용한 참고가 될 수 있다.



(DOI) 10.35557/trce.52.3.202009.005

조회수 9회댓글 0개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사사표기]"청소년 성소수자와 안전공간 : ‘배제된 이들’이 만들어나가는 대안 공간들"

본 연구는 학교 공간에서 비가시화된 청소년 성소수자가 학교 바깥에서 어떻게 안전공간(safe space)을 발견하고 경험하며, 이를 새롭게 구축하고자 시도하는지에 주목함으로써 퀴어 안전공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한국 사회의 청소년 성소수자는 학교...

Comments


bottom of page